기아 카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카렌스는 기아가 생산하는 소형 미니밴으로, 1999년에 1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1세대는 200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2006년부터 2013년까지 2세대 모델이 판매되었다. 2013년에 출시된 3세대는 2018년에 단종되었으며, 2021년에는 4세대 모델이 출시되어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4세대 모델은 SUV 스타일로 디자인되었으며, 인도,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등 개발도상국 시장을 겨냥하여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도입된 자동차 - BMW X5
BMW X5는 BMW가 1999년에 출시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고성능 버전인 X5 M도 존재한다. - 1999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에쿠스
현대 에쿠스는 현대자동차가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한 고급 세단으로, 미쓰비시 자동차와의 협력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고급차 시장에서 경쟁했으며, 수출 시장에서는 센테니얼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고, 1세대 모델은 전륜구동, 2세대 모델은 후륜구동 방식에 리무진 모델도 출시되었으나 2015년 12월 제네시스 G90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미니밴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미니밴 -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올란도는 GM의 델타 II 플랫폼 기반 전륜구동 MPV로,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어 2011년 국내에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과 군산공장 폐쇄로 단종되었고, 이후 중국 시장에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지만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카렌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기아 |
생산 기간 | 1999년–2018년 2021년–현재 |
차종 | 준중형 MPV |
차체 스타일 |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명칭 | |
한국어 | 기아 카렌스 |
영어 | Kia Carens |
기타 명칭 | 기아 론도 (미국, 캐나다, 호주, 2006년~2018년) 기아 엑스트렉(대한민국, 2003년~2006년) |
생산 및 조립 | |
생산지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1999년~2006년)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동 (2006년~2018년) 안드라프라데시 주 아난타푸르 (2021년~현재) |
기술 정보 | |
선행 차량 | 기아 카스타 |
후속 차량 | 기아 셀토스 (대한민국) |
차대 | 모노코크 |
연료 | 가솔린(1999년~현재) 디젤(2002년~현재) LPG(1999년~2018년) |
변속기 | 수동 5단 (1999년~2013년) 수동 6단 (2006년~2009년, 2013년~2016년) 자동 4단 (1999년~2013년) 자동 6단 (2013년~2018년) DCT 7단 (2015년~2018년) |
관련 차량 | 기아 세피아 기아 슈마 기아 스펙트라 기아 로체 기아 K3(YD/YK) 기아 씨드(JD) 기아 쏘울(PS) 기아 셀토스 현대 크레타 |
2. 역사
기아자동차의 미니밴 모델인 카렌스는 1999년 처음 등장했다. 1세대 모델(RS)은 카스타/조이스의 상위 차종으로 출시되었으며, 초기에는 1.8L 엔진만 있었으나 이후 2.0L 엔진이 추가되었다. 2002년에는 부분 변경 모델인 카렌스 II가 출시되었고, 크로스오버 스타일의 파생 모델인 엑스트렉도 선보였다. 1세대 모델은 말레이시아에서 나자의 '치트라'라는 이름으로 현지 생산되기도 했다.
2006년 등장한 2세대 모델(UN)은 2006년 마드리드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전장이 길어지고 유럽 사양에도 7인승 모델이 처음 적용되었다. 북미 시장에는 ''Rondo''라는 이름으로, 호주 시장에서는 기존 카렌스에서 ''Rondo''로 차명을 변경하여 판매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나자 시트라 II 론도'로 판매되었다.
2012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된 3세대 모델(RP)은 2013년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약 2200억원의 개발 비용이 투입되었으며, K3와 플랫폼을 공유했다. 엔진 라인업은 직렬 4기통으로 변경되었고, 1.7L 디젤, 2.0L LPG 등이 탑재되었다. 2016년 부분 변경을 거쳤으나, 판매 부진으로 2018년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4세대 모델(KY)은 2021년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공개되었으며, 개발도상국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SUV 스타일로 변경되었다. 셀토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인도,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에서 생산된다.
아래는 주요 시장별 연간 판매량이다.
2. 1. 1세대 (RS) (1999년~2006년)
1세대 카렌스(코드명 RS)는 1999년 6월에 처음 출시된 기아자동차의 미니밴이다. 슈마와 세피아 2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당시 판매되던 카니발 1세대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토요타 입섬을 벤치마킹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미니밴 중에서는 최초로 자동변속기 레버를 스티어링 휠 컬럼에 장착한 칼럼 시프트 방식을 채택했다.출시 당시 7인승 승합차로 분류되어 자동차세 부담이 적었고, LPG 연료를 사용하여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경제성 덕분에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44]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2000년에는 쏘나타(EF)와 아반떼(XD)에 이어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 연간 판매량 3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5]
2002년에는 내·외관 디자인을 변경한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카렌스 Ⅱ가 출시되었고, 2003년에는 카렌스 Ⅱ를 기반으로 차체를 높이고 디젤 엔진을 탑재한 파생 모델 엑스트렉이 추가되었다. 1세대 카렌스는 200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일부 해외 시장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에서는 2005년부터 나자 자동차를 통해 나자 시트라(Naza Citra)라는 이름으로 현지 생산 및 판매가 이루어졌다.[5][6] 일본 시장에서는 출시가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도입되지 않았다.
2. 1. 1. 카렌스 (1999년 6월~2000년 1월)


1999년 6월에 처음 출시되었다. 기아 슈마와 세피아 2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카니발 1세대보다는 작은 크기의 미니밴으로 설계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토요타 입섬을 벤치마킹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미니밴 중에서는 최초로 자동변속기 레버를 스티어링 휠 오른쪽에 배치한 칼럼 시프트 타입을 적용했다.
출시 당시 7인승 승합차로 분류되어 자동차세 부담이 적었고, LPG 연료를 사용하여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경제적 이점 덕분에 큰 인기를 얻었다.[44]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2000년에는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연간 판매량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45] 당시 광고 문구는 "21세기 밀레니엄"이었다.
구분 | 카렌스 1.8ℓ 가솔린 | 카렌스 1.8ℓ LPG | 카렌스 2.0ℓ LPG |
---|---|---|---|
전장 (mm) | 4,450 | ||
전폭 (mm) | 1,730 | ||
전고 (mm) | 1,600 | ||
축거 (mm) | 2,570 | ||
윤거 (전, mm) | 1,470 | ||
윤거 (후, mm) | 1,470 | ||
승차 정원 | 5명/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
엔진 형식 | TB | TL | L4GC |
연료 | 가솔린 | LPG | |
배기량 (cc) | 1,793 | 1,975 | |
최고 출력 (ps/rpm) | 130/6,000 (이후 118/5,800으로 변경) | 108/5,600 | 123/5,500 |
최대 토크 (kg*m/rpm) | 17.0/4,500 (이후 16.1/4,500으로 변경) | 16.1/4,500 | 17.5/3,000 |
연비 (km/ℓ) | 17.7(수동 5단)/ 17.5(자동 4단) (이후 13.3(수동 5단)/ 11.1(자동 4단)로 변경) | 16.8(수동 5단)/ 16.2(자동 4단) (이후 11.7(수동 5단)/ 9.2(자동 4단)로 변경) | 11.1(수동 5단)/ 8.8(자동 4단) |
2. 1. 2. 뉴 카렌스 (2000년 1월~2002년 3월)


2000년 1월 11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카렌스가 출시되었다. 라디에이터 그릴과 리어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새로운 원형 기아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같은 해 6월 7일에는 기존 108마력 1.8ℓ T8D LPG 엔진을 123마력 2.0ℓ 베타 LPG 엔진으로 교체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2001년 5월에는 상품성 개선 모델이 출시되어 바디 컬러와 동일한 색상의 아웃사이드 미러, 흰색 측면 방향지시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180도 회전 가능한 조수석 시트, 키 일체형 무선 도어 잠금 장치, 운전석 높이 조절 장치, 2열 컵 홀더 내장형 암레스트, 5:5 분할 접이식 3열 시트 등 편의 사양이 추가되었다.
2. 1. 3. 카렌스 Ⅱ (2002년 3월~2006년 4월)


기존 카렌스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2년 4개월간 총 1500억원의 개발비를 투자해 개발되었으며, 실내에는 대형 도어트림 포켓 등 총 34개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여 실용성을 높였다.[46] 2002년 3월 27일 출시됐다. 카렌스 Ⅱ는 출시 초기에 115마력 2.0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도 탑재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규칙 강화로 인해 디젤 모델은 단종됐다.[47] 단종된 디젤 모델은 이후 차고를 높이고 LSD(차동 제한 장치)를 추가한 파생 모델 엑스트렉으로 재편되어 출시됐다.
2002년 9월 18일에 선보인 2003년형 모델은 3열 시트의 격납식 헤드레스트,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 ECM 룸미러, TCS(트랙션 컨트롤 시스템), 백진주색 외장 컬러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2004년 1월 5일에 출시된 2004년형 모델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휠 커버, 알루미늄 휠의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가 새로 적용되었다. 2005년 4월 19일에 출시된 2005년형 모델은 발수 코팅 글라스와 크롬 도금 인사이드 도어 핸들 등이 추가되었으며, 동시에 기아의 원형 엠블럼이 타원형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구분 | 카렌스 Ⅱ 1.8ℓ 가솔린 | 카렌스 Ⅱ 1.8ℓ LPG | 카렌스 Ⅱ 2.0ℓ 가솔린 | 카렌스 Ⅱ 2.0ℓ LPG | 카렌스 Ⅱ 2.0ℓ 디젤 |
---|---|---|---|---|---|
전장 (mm) | 4,490 | ||||
전폭 (mm) | 1,750 | ||||
전고 (mm) | 1,610 | ||||
축거 (mm) | 2,570 | ||||
윤거 (전, mm) | 1,490 | ||||
윤거 (후, mm) | 1,485 | ||||
승차 정원 | 5명/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
엔진 형식 | TB | TL | G4GC | L4GC | D4EA |
연료 | 가솔린 | LPG | 가솔린 | LPG | 디젤 |
배기량 (cc) | 1,793 | 1,975 | 1,991 | ||
최고 출력 (ps/rpm) | 126/6,000 | 108/5,600 | 138/6,000 | 123/5,500 | 115/4,000 |
최고 속도 (km/h) | - | 172(수동 5단)/ 171(자동 4단) | |||
최대 토크 (kg*m/rpm) | 16.5/4,900 | 16.1/4,500 | 17.8/4,500 | 17.5/3,000 | 26.0/2,000 |
연비 (km/ℓ) | 13.3(수동 5단)/11.1(자동 4단) (이후 11.4(수동 5단)/8.9(자동 4단)로 변경) | 11.7(수동 5단)/9.2(자동 4단) (이후 9.2(수동 5단)/7.2(자동 4단)로 변경) | 11.2(수동 5단)/9.6(자동 4단) | 11.1(수동 5단)/8.8(자동 4단) (이후 8.4(수동 5단)/7.0(자동 4단)으로 변경) | 15.6(수동 5단)/13.8(자동 4단) |
2003년 4월 17일에는 카렌스 Ⅱ의 파생 모델인 엑스트렉(X-Trek)이 출시됐다.[48][49] 엑스트렉은 카렌스 Ⅱ의 차체 지상고를 높이고, 단종되었던 115마력 2.0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다시 탑재했으며, LSD를 장착하여 SUV 스타일을 강조했다. 차명 '엑스트렉'은 '최상'을 뜻하는 Extra와 '험로를 통한 긴 여정'을 뜻하는 Trek의 합성어로, '험로를 극복하는 특별한 여행'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외관상으로는 높아진 최저 지상고, 투톤 컬러 범퍼, 클리어 타입의 후미등 등이 기존 카렌스 Ⅱ와의 주요 차이점이다.
2004년 1월 5일에 출시된 2004년형 엑스트렉은 휠 커버와 알루미늄 휠 디자인이 변경되고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가 추가되었다. 2005년 10월 26일에 출시된 2006년형 모델은 기아의 엠블럼이 타원형으로 변경되었고, 크롬 도금 인사이드 도어 핸들, 블랙 베젤 헤드 램프, 발수 코팅 글라스, ECM 룸미러, 세이프티 키 등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구분 | X-트렉 2.0ℓ 디젤 |
---|---|
전장 (mm) | 4,490 |
전폭 (mm) | 1,750 |
전고 (mm) | 1,685 |
축거 (mm) | 2,570 |
윤거 (전, mm) | 1,490 |
윤거 (후, mm) | 1,485 |
승차 정원 | 5명/7명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엔진 형식 | D4EA |
연료 | 디젤 |
배기량 (cc) | 1,991 |
최고 출력 (ps/rpm) | 115/4,000 |
최고 속도 (km/h) | 172(수동 5단)/ 171(자동 4단) |
최대 토크 (kg*m/rpm) | 26.0/2,000 |
연비 (km/ℓ) | 14.7(수동 5단)/ 12.0(자동 4단) |
2. 2. 2세대 (UN) (2006년~2013년)


2세대 카렌스(코드명 UN)는 2006년 4월 13일에 출시되었다. 로체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생산 공장은 1세대가 생산되던 화성 공장에서 광주 공장으로 이전되었다. 1세대에 비해 축거가 130mm 길어져 실내 공간이 더욱 넓어졌다.
실내에서는 주차 브레이크가 기존의 핸드 레버식에서 페달식으로 변경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였고, 역대 카렌스 시리즈 중 처음으로 센터 콘솔 박스가 적용되었다. 또한 자동변속기 레버는 칼럼 시프트 타입에서 플로어 시프트 타입으로 바뀌었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 DVD AV & 내비게이션, JBL 사운드 시스템, 1열 사이드 & 커튼 에어백 등 다양한 편의 및 안전 사양이 적용되었다.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 시장에서는 '''론도'''(''Rondo'')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 2. 1. 뉴 카렌스 (2006년 4월~2013년 3월)
2006년 4월 13일에 출시되었다. 로체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생산 공장은 1세대의 화성 공장에서 2세대부터 광주 공장으로 이전되었다. 1세대에 비해 축거가 130mm 길어져 실내 공간이 넓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주차 브레이크는 기존의 핸드 레버식에서 페달식으로 변경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였고,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 DVD AV & 내비게이션, JBL 사운드 시스템, 1열 사이드 & 커튼 에어백 등 다양한 편의 및 안전 사양이 적용되었다. 또한, 역대 카렌스 시리즈 중 처음으로 센터 콘솔 박스가 장착되었으며, 자동변속기는 칼럼 시프트 타입에서 플로어 시프트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시장에는 '''론도'''(''Rondo'')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론도는 2006년 로스앤젤레스 국제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07년형 모델로 2006년 12월 캐나다, 2007년 초 미국에서 판매가 시작되었다. 초기 2년간은 연간 2만 대 이상 판매되며 내부 목표를 초과 달성했으나, 2009년형 모델부터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회복하지 못했다. 결국 2010년 8월, 미국 시장에서는 단종되었으나, 캐나다에서는 2011년에 기아의 새로운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적용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어 판매를 이어갔다. 북미 시장에서는 5인승 또는 7인승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175마력 2.4L 4기통 엔진 또는 192마력 2.7L V6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 V6 엔진은 기아가 마지막으로 타이밍 벨트를 사용한 엔진으로, 이후 모델들에는 타이밍 체인이 적용되었다.
호주 시장에서는 '''론도7'''(''Rondo7'')이라는 이름으로 2008년 4월부터 판매되었으며, 7인승 모델만 출시되었다. 2.0L 4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자동변속기 또는 수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유럽 시장에는 2006년 5월 마드리드 모터쇼를 통해 데뷔했으며, 유럽 사양에도 처음으로 3열 시트(7인승)가 적용되었다. 외관 디자인은 200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된 컨셉트카 '''멀티-S'''(''Multi-S'')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8] '멀티-S'는 '스포티(Sporty), 넓은(Spacious), 스마트(Smart)'를 의미하며, 양산 모델과의 주된 차이점은 지붕 전체를 덮는 이중 패널 선루프였다.[8]
말레이시아에서는 2008년부터 나자에 의해 현지 생산이 시작되어, '''나자 시트라 II 론도'''(''Naza Citra II Rondo'')라는 이름으로 기존 모델인 시트라와 함께 판매되었다.
기본 사양으로는 16인치 알로이 휠, AM/FM 라디오, CD 플레이어, MP3 기능, 아이팟 보조 단자, 에어컨, 파워 윈도우 및 도어 잠금 장치, 전면/측면/사이드 커튼 에어백, 4륜 디스크 브레이크, ABS, ESC, TPMS 등이 포함되었다. 선택 사양으로는 선루프, 가죽 인테리어, 열선 내장 앞좌석, 크루즈 컨트롤, 스마트키, 인피니티 10 스피커 스테레오 등이 제공되었다.
구분 | 뉴 카렌스 2.0ℓ 가솔린 | 뉴 카렌스 2.0ℓ LPI | 뉴 카렌스 2.0ℓ VGT |
---|---|---|---|
전장 (mm) | 4,545 | ||
전폭 (mm) | 1,820 | ||
전고 (mm) | 1,650 1,720 (2006년~2010년 루프랙 적용 시) 1,700 (2010년~2013년 루프랙 적용 시) | 1,650 1,720 (루프랙 적용 시) | |
축거 (mm) | 2,700 | ||
윤거 (전, mm) | 1,575 (R15, R16) 1,565 (R17) | ||
윤거 (후, mm) | 1,570 (R15, R16) 1,560 (R17) | ||
승차 정원 | 5명 / 7명 | ||
변속기 | 자동 4단 | 수동 5단 자동 4단 | 수동 6단 자동 4단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 / 멀티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구동 | ||
엔진 형식 | G4KA | L4KA | D4EA |
연료 | 가솔린 | LPG | 디젤 |
배기량 (cc) | 1,998 | 1,991 | |
최고 출력 (ps/rpm) | 151 / 6,000 | 136 / 6,000 (이후 141 / 6,000, 138 / 6,000으로 변경) | 146 / 4,000 (이후 151 / 3,800으로 변경)[7] |
최대 토크 (kg*m/rpm) | 19.8 / 4,250 | 18.9 / 4,250 (이후 19.0 / 4,250, 18.7 / 4,250으로 변경) | 32.0 / 2,000 (이후 32.8 / 2,000으로 변경)[7] |
연비 (km/ℓ) | 10.6 (자동 4단) (이후 복합 9.5 (도심 8.4 / 고속 11.4)로 변경) | 9.5 (수동 5단) / 8.1 (자동 4단) (이후 9.8 (수동 5단) / 8.6 (자동 4단)으로 변경) (이후 복합 8.3 (도심 7.7 / 고속 9.1) (수동 5단) / 복합 7.7 (도심 6.9 / 고속 8.9) (자동 4단)로 변경) | 15.1 (수동 6단) / 13.0 (자동 4단) (이후 복합 14.5 (도심 13.2 / 고속 16.4) (수동 6단) / 복합 12.8 (도심 11.6 / 고속 14.6) (자동 4단)으로 변경)[7] |
2. 2. 2. 뉴 페이스 카렌스 (2008년 3월~2013년 3월)


2008년 3월 3일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 내수용 사양도 수출용과 동일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09년 9월 21일에는 201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알루미늄 휠, 슈퍼비전 클러스터, 하이패스, 블루투스 핸즈프리, 방향지시등이 내장된 아웃사이드 미러 등이 추가되었고, 2.0ℓ 가솔린 엔진 모델이 더해졌다.
2010년 6월 21일에는 2011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기아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반영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고, 메탈 루프랙과 크롬 머플러 팁 등이 추가되어 디자인이 개선되었다. 이는 캐나다 등 일부 시장에서 판매된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유사한 디자인 변경이다.[7]
2. 3. 3세대 (RP) (2013년~2018년)
2012년 9월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3년 3월 28일 서울 모터쇼 개막과 함께 출시되었다. 51개월의 개발 기간과 약 2200억원의 개발 비용이 투입되었다. 3세대 카렌스는 K3 및 씨드와 같은 준중형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이전 2세대가 중형차 플랫폼을 사용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원가 절감에는 유리했지만 실내 공간이 좁아졌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디자인적으로는 넓은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한 캡 포워드 디자인과 대향형 와이퍼가 특징이며, 2013년 레드닷 디자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기아차, 레드닷 디자인상 4개 차종 수상 뉴시스파워트레인은 기존 V6 엔진이 사라지고 1.7L 디젤 엔진과 2.0L LPG 엔진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1.7L 디젤 모델은 카렌스 역사상 처음으로 5인승 모델이 먼저 출시되었고, 이후 7인승 모델이 추가되었다. 이는 초기 시장 경쟁에서 경쟁 모델인 쉐보레 올란도에 비해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 편의 사양으로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1열 통풍 시트, 2열 열선 시트(리클라이닝 기능 포함) 등이 적용되었고, 모든 트림에 6개의 에어백과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출시 이후 연식 변경을 통해 상품성 개선이 이루어졌다. 2014년형 모델부터는 디젤 모델에 ISG(Idle Stop & Go) 시스템이 추가된 트림이 선보였고, 2016년형 디젤 모델에는 7단 DCT가 새롭게 적용되었다. 2016년 7월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 디자인을 변경하고 실내 일부 소재를 개선한 페이스리프트 모델 '더 뉴 카렌스'가 출시되었다.
하지만 3세대 카렌스는 준중형 플랫폼 사용으로 인한 공간적 한계와 초기 디젤 7인승 모델 부재 등으로 인해 경쟁 모델인 쉐보레 올란도와의 경쟁에서 고전하며 판매 부진을 겪었다. 결국 2018년 7월 생산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10월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기아는 카렌스가 속했던 중형 MPV 시장에서 철수하고, 대신 소형 SUV인 셀토스를 출시하며 라인업을 재편했다. 비슷한 시기 쉐보레 올란도 역시 단종되면서 대한민국 시장에서 2.0리터급 LPG 중형 MPV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며, 이 수요는 이후 출시된 QM6 LPG 모델 등으로 일부 이동했다.
2. 3. 1. 올 뉴 카렌스 (2013년 3월~2016년 7월)
5인승/7인승(ISG 장착)
5인승
5인승/7인승
(ISG 장착)
5인승
7인승
1,563 (R18)
1,576 (R18)
자동 6단
도심 8.0 / 고속 10.7 / 복합 9.0 (자동 6단)